반응형

품질인정 33

[방화문 인정제품] [세기에프에스디] [8] [SG-PKD-D2]

[방화문] [신규인정] 세기에프에스디(주)(031-763-3121) 1. 인정업체 : 세기에프에스디㈜ 대표자 김성배 2. 공장소재지 : (12782) 경기도 광주시 고불로229번길 33-5 3. 인정제품 수량: 18종 4. 웹페이지 : https://segifsd.co.kr/ 세기fsd안전,생명을 지키는 비규격 특수 방화문 제조업체입니다.segifsd.co.kr

[방화문 인정제품] [세기에프에스디] [7] [SG-PKD-D1]

[방화문] [신규인정] 세기에프에스디(주)(031-763-3121) 1. 인정업체 : 세기에프에스디㈜ 대표자 김성배 2. 공장소재지 : (12782) 경기도 광주시 고불로229번길 33-5 3. 인정제품 수량: 18종 4. 웹페이지 : https://segifsd.co.kr/ 세기fsd안전,생명을 지키는 비규격 특수 방화문 제조업체입니다.segifsd.co.kr

건축법 - 제52조(건축자재의 품질관리 등)

제52조의4(건축자재의 품질관리 등) ① 복합자재[불연재료인 양면 철판, 석재, 콘크리트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와 불연재료가 아닌 심재(心材)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를 포함한 제52조에 따른 마감재료, 방화문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자재의 제조업자, 유통업자, 공사시공자 및 공사감리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기재한 품질관리서(이하 “품질관리서”라 한다)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허가권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개정 2019. 4. 23.> ② 제1항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조업자, 유통업자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험기관에 건축자재의 성능시험을 의뢰하여야 한다. 개정 2019. 4. 23.> ③..

방화문 시공 하자 유형 BEST 4

방화문 시공 하자 유형 BEST 41. 개방 불량: 시공 시 및 사용 상의 사유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하자 유형입니다. 문턱이 수직, 수평이 허용 공차 안에서 정밀 시공되어야 하며,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시공 공정 완료 후 지속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2. 하드웨어 불량: 하드웨어의 내구성이 좋은 제품을 개발 및 관리실에서 방화문의 하드웨어를 충분히 비치해야 합니다. 하드웨어 조정은 사용자와 관리자의 인식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3. 오염 및 탈색: 지속적인 접촉으로 인한 오염, 도장의 도막 탈락으로 인한 시간에 따른 오염 발생, 입주 청소 및 준공 청소시의 약품 사용으로 인한 문턱 하부의 썩음 발생 등이 포함됩니다.  4. 스크래치, 오염, 찍힘, 파손: 시공 시 자재의 이동이나 내부 인테리어..

#5 방화문 품질인정 제도

품질인정 제도품질인정 제도는 방화문 제품이 국가나 국제 표준, 혹은 관련 법령에서 정한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검증하고, 이를 인증하는 과정입니다. 이 제도는 제품의 안전성, 신뢰성 및 성능을 보장하여, 최종 사용자인 소비자에게 안심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품질인정 절차품질인정 절차는 대략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합니다:신청 및 문서 제출: 제조업체나 수입업체는 필요한 문서와 함께 품질인정을 신청합니다. 이 때, 제품 설계, 제조 과정, 품질 관리 시스템 등에 대한 자료를 포함해야 할 수 있습니다.    2. 심사 및 평가: 신청된 제품에 대한 심사와 평가가 진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제품의 시험 결과, 기술 문서, 제조 공정 등이 검토됩니다.  3. 현장 심사: 필요..

[복합자재] 폭합자재 ( 샌드위치패널 ) 품목 / 종류

[별표 1] 건축자재등의 품목 ■ 복합자재(샌드위치패널) 품목 품 목 내 용 불연 유기질 우레탄 §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불연재료인 우레탄 심재로 구성된 마감재 불연 유기질 EPS §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불연재료인 EPS 심재로 구성된 마감재 불연 무기질 그라스울 §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불연재료인 그라스울 심재로 구성된 마감재 불연 무기질 미네랄울 §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불연재료인 미네랄울 심재로 구성된 마감재 기타 불연 마감재 §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불연재료인 기타 불연 심재로 구성된 마감재 준불연 유기질 우레탄 §(준)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준)불연재료인 우레탄 심재로 구성된 마감재 준불연 유기질 EPS §(준)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준)불연재료인 EPS 심재로 구..

[KS 인증] KS인증 공장심사보고서 양식에 대하여 알아보자 I KS F 3109 방화문

KS인증 공장심사 보고서 양식을 소개합니다 KS인증은 한국산업표준(Korean Standards)에 부합하는 제품만이 시장에 출시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중요한 인증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제품의 품질뿐만 아니라,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의 생산 능력과 품질 관리 시스템도 철저히 심사받게 됩니다. 오늘은 이 중요한 공장심사 단계를 위해 준비해야 하는 보고서 양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장심사의 중요성 공장심사는 제품이 KS인증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생산 과정과 품질 관리 체계가 적절히 구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이 과정은 제품의 일관된 품질 유지와 지속 가능한 생산 능력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공장심사를 통과하지 못하면, 아무리 우수한 제품이라도 KS인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방화문 KS 심사] 방화문 KS 심사 시 심사제출 서류 목록표 I KS F 3109 방화문

방화문 KS인증은 문세트 KS F 3109 인증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방화문 KS(Korean Standards) 심사는 한국산업표준에 따라 방화문의 품질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과정입니다. 이 심사를 통과해야만 제품이 KS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제품의 신뢰성을 보증하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심사 제출 서류는 심사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제품이 한국산업표준에 부합하는지를 평가받게 됩니다. 심사 제출 서류 목록은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신청서 및 동의서: KS 인증 신청과 관련된 기본적인 정보와 심사를 위한 동의서. 회사 및 공장 정보: 회사의 법인 등록증, 공장의 위치 및 규모, 생산 설비에 대한 정보 등 회사와 생산 시설에 ..

2023.10.24_개정_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 세부운영지침 자료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세부운영지침 일부 개정 주요내용 : 방화문 부속품 중 개스킷, 접착제 등 성능시험 절차 및 평가기준 추가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 세부운영지침」 [본문]_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개 정 안 개정사유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지침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제2조(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적용에 관한 경과조치) 부록 3의 개정 규정은 이 지침 시행 당시 품질인정을 신청하여 진행 중이거나 품질인정을 받은 구조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개정된 시험방법 등의 적용 시점에 대한 경과 규정 마련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 세부운영지침」 [부록]_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개 정 안 개정사유 [부록 3]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의 품질시험방법 1. 적..

[방화문 손잡이 종류] 레바형 도어락 / 원통형 도어락 / 패닉바 / 디지털 도어락

방화문에 사용되는 도어락은 크게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특성은 사용되는 환경과 요구되는 안전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도어락 유형에는 레바형, 원통형, 패닉바 등이 있습니다.1. 레바형(Leverset) 도어락특징: 레바형 도어락은 손잡이가 레버 형태로 되어 있어, 손쉽게 문을 열고 닫을 수 있습니다. 화재 시 빠른 대피를 위해 설계된 경우가 많으며, 장애인 접근성 규정을 충족시키는 데에도 유리합니다.사용처: 공공 건물, 사무실, 학교 등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2. 원통형(Cylindrical Lockset) 도어락특징: 원통형 도어락은 도어락 본체가 문의 원통형 구멍에 맞게 설계되어 있으며, 키를 사용하여 잠그고 열 수 있습니다.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설치가..

[소방법규] 방화구획 및 방화문의 설치기준

[소방법규] 방화구획 및 방화문의 설치기준 방화구획은 큰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화재가 전체로 번지지 않도록 내화구조의 바닥, 벽 및 방화문 또는 방화셔터 등으로 만들어지는 구역을 의미합니다. 방화구획 정의: 화재가 건물 전체에 번지지 않도록 구역을 나누는 것. 구분 기준: 층단위 및 면적단위로 구분, 스프링클러 같은 자동식 소화설비가 있을 경우 기본 면적의 3배로 완화. 설치 기준: 지하층, 3층~10층은 바닥면적 1000㎡마다 (스프링클러 설치 시 3000㎡마다). 11층부터는 바닥면적 200㎡마다 (스프링클러 설치 시 600㎡마다). 근거 관계법령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방화구획 설치조건 및 방화문 설치조건에 대해 상세하게 다룹니다. 이 ..

방화셔터 인근에는 방화문을 의무 설치해야할까?

방화셔터 인근 방화문 설치 의무자동방화셔터 및 방화문의 기준에 관련된 내용이 개정되었습니다. 이 개정은 방화문 설치의 필요성에 대한 애매한 해석을 명확히 합니다. 결론적으로, 방화셔터가 설치된 곳 인근에는 반드시 방화문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기존의 일체형 방화셔터 사용이 금지되고, 방화문이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는 새로운 규정에 따른 것입니다.개정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체형 방화셔터 사용 금지: 이전에는 일체형 방화셔터와 방화문을 함께 사용할 수 있었으나, 피난 시 방화셔터가 닫혀 피난경로를 막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정되었습니다.방화문 별도 설치 의무화: 자동방화셔터 인근(3미터 이내)에는 피난이 가능한 60분 방화문 또는 유사한 기준의 방화문을 별도로 설치해야 합니다.이러한 규정 ..

방화문 인정제도 세부운영지침 개정 (23.10.24)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세부운영지침 일부 개정 주요내용 : 방화문 부속품 중 개스킷, 접착제 등 성능시험 절차 및 평가기준 추가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 세부운영지침」 [본문]_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개 정 안 개정사유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지침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제2조(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적용에 관한 경과조치) 부록 3의 개정 규정은 이 지침 시행 당시 품질인정을 신청하여 진행 중이거나 품질인정을 받은 구조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개정된 시험방법 등의 적용 시점에 대한 경과 규정 마련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 세부운영지침」 [부록]_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개 정 안 개정사유 [부록 3]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의 품질시험방법 1. 적..

품질인정) 방화문/승강기문/방화셔터 품질인정 품명

■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품목 품 목 주요 재료ㆍ제품 방화문 60분+ 편개 방화문 ISD : Insulated Single Fire Door 편개 문짝, 문틀 60분 편개 방화문 NSD : Non-Insulated Single Fire Door of 60 min 편개 문짝, 문틀 30분 편개 방화문 NSDH : Non-Insulated Single Fire Door of 30 min 편개 문짝, 문틀 60분+ 양개 방화문 IDD : Insulated Double Fire Door 양개 문짝, 문틀 60분 양개 방화문 NDD : Non-Insulated Double Fire Door of 60 min 양개 문짝, 문틀 30분 양개 방화문 NDDH : Non-Insulated Double Fire Doo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