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품질인정 31

건축법 - 제52조(건축자재의 품질관리 등)

제52조의4(건축자재의 품질관리 등) ① 복합자재[불연재료인 양면 철판, 석재, 콘크리트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와 불연재료가 아닌 심재(心材)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를 포함한 제52조에 따른 마감재료, 방화문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자재의 제조업자, 유통업자, 공사시공자 및 공사감리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기재한 품질관리서(이하 “품질관리서”라 한다)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허가권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개정 2019. 4. 23.> ② 제1항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조업자, 유통업자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험기관에 건축자재의 성능시험을 의뢰하여야 한다. 개정 2019. 4. 23.> ③..

방화문 시공 하자 유형 BEST 4

방화문 시공 하자 유형 BEST 4 1. 개방 불량: 시공 시 및 사용 상의 사유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하자 유형입니다. 문턱이 수직, 수평이 허용 공차 안에서 정밀 시공되어야 하며,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시공 공정 완료 후 지속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2. 하드웨어 불량: 하드웨어의 내구성이 좋은 제품을 개발 및 관리실에서 방화문의 하드웨어를 충분히 비치해야 합니다. 하드웨어 조정은 사용자와 관리자의 인식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3. 오염 및 탈색: 지속적인 접촉으로 인한 오염, 도장의 도막 탈락으로 인한 시간에 따른 오염 발생, 입주 청소 및 준공 청소시의 약품 사용으로 인한 문턱 하부의 썩음 발생 등이 포함됩니다. 4. 스크래치, 오염, 찍힘, 파손: 시공 시 자재의 이동이나 내부 인테리어 과정에..

#5 방화문 품질인정 제도

품질인정 제도 품질인정 제도는 방화문 제품이 국가나 국제 표준, 혹은 관련 법령에서 정한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검증하고, 이를 인증하는 과정입니다. 이 제도는 제품의 안전성, 신뢰성 및 성능을 보장하여, 최종 사용자인 소비자에게 안심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품질인정 절차 품질인정 절차는 대략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합니다: 신청 및 문서 제출: 제조업체나 수입업체는 필요한 문서와 함께 품질인정을 신청합니다. 이 때, 제품 설계, 제조 과정, 품질 관리 시스템 등에 대한 자료를 포함해야 할 수 있습니다. 2. 심사 및 평가: 신청된 제품에 대한 심사와 평가가 진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제품의 시험 결과, 기술 문서, 제조 공정 등이 검토됩니다. 3. 현장 심사: 필요한 경우,..

[복합자재] 폭합자재 ( 샌드위치패널 ) 품목 / 종류

[별표 1] 건축자재등의 품목 ■ 복합자재(샌드위치패널) 품목 품 목 내 용 불연 유기질 우레탄 §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불연재료인 우레탄 심재로 구성된 마감재 불연 유기질 EPS §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불연재료인 EPS 심재로 구성된 마감재 불연 무기질 그라스울 §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불연재료인 그라스울 심재로 구성된 마감재 불연 무기질 미네랄울 §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불연재료인 미네랄울 심재로 구성된 마감재 기타 불연 마감재 §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불연재료인 기타 불연 심재로 구성된 마감재 준불연 유기질 우레탄 §(준)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준)불연재료인 우레탄 심재로 구성된 마감재 준불연 유기질 EPS §(준)불연재료인 양면(강판류)과 (준)불연재료인 EPS 심재로 구..

[KS 인증] KS인증 공장심사보고서 양식에 대하여 알아보자 I KS F 3109 방화문

KS인증 공장심사 보고서 양식을 소개합니다 KS인증은 한국산업표준(Korean Standards)에 부합하는 제품만이 시장에 출시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중요한 인증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제품의 품질뿐만 아니라,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의 생산 능력과 품질 관리 시스템도 철저히 심사받게 됩니다. 오늘은 이 중요한 공장심사 단계를 위해 준비해야 하는 보고서 양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장심사의 중요성 공장심사는 제품이 KS인증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생산 과정과 품질 관리 체계가 적절히 구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이 과정은 제품의 일관된 품질 유지와 지속 가능한 생산 능력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공장심사를 통과하지 못하면, 아무리 우수한 제품이라도 KS인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방화문 KS 심사] 방화문 KS 심사 시 심사제출 서류 목록표 I KS F 3109 방화문

방화문 KS인증은 문세트 KS F 3109 인증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방화문 KS(Korean Standards) 심사는 한국산업표준에 따라 방화문의 품질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과정입니다. 이 심사를 통과해야만 제품이 KS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제품의 신뢰성을 보증하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심사 제출 서류는 심사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제품이 한국산업표준에 부합하는지를 평가받게 됩니다. 심사 제출 서류 목록은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신청서 및 동의서: KS 인증 신청과 관련된 기본적인 정보와 심사를 위한 동의서. 회사 및 공장 정보: 회사의 법인 등록증, 공장의 위치 및 규모, 생산 설비에 대한 정보 등 회사와 생산 시설에 ..

2023.10.24_개정_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 세부운영지침 자료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세부운영지침 일부 개정 주요내용 : 방화문 부속품 중 개스킷, 접착제 등 성능시험 절차 및 평가기준 추가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 세부운영지침」 [본문]_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개 정 안 개정사유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지침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제2조(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적용에 관한 경과조치) 부록 3의 개정 규정은 이 지침 시행 당시 품질인정을 신청하여 진행 중이거나 품질인정을 받은 구조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개정된 시험방법 등의 적용 시점에 대한 경과 규정 마련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 세부운영지침」 [부록]_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개 정 안 개정사유 [부록 3]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의 품질시험방법 1. 적..

[방화문 손잡이 종류] 레바형 도어락 / 원통형 도어락 / 패닉바 / 디지털 도어락

방화문에 사용되는 도어락은 크게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특성은 사용되는 환경과 요구되는 안전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도어락 유형에는 레바형, 원통형, 패닉바 등이 있습니다. 1. 레바형(Leverset) 도어락 특징: 레바형 도어락은 손잡이가 레버 형태로 되어 있어, 손쉽게 문을 열고 닫을 수 있습니다. 화재 시 빠른 대피를 위해 설계된 경우가 많으며, 장애인 접근성 규정을 충족시키는 데에도 유리합니다. 사용처: 공공 건물, 사무실, 학교 등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2. 원통형(Cylindrical Lockset) 도어락 특징: 원통형 도어락은 도어락 본체가 문의 원통형 구멍에 맞게 설계되어 있으며, 키를 사용하여 잠그고 열 수 있습니다.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설..

[소방법규] 방화구획 및 방화문의 설치기준

[소방법규] 방화구획 및 방화문의 설치기준 방화구획은 큰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화재가 전체로 번지지 않도록 내화구조의 바닥, 벽 및 방화문 또는 방화셔터 등으로 만들어지는 구역을 의미합니다. 방화구획 정의: 화재가 건물 전체에 번지지 않도록 구역을 나누는 것. 구분 기준: 층단위 및 면적단위로 구분, 스프링클러 같은 자동식 소화설비가 있을 경우 기본 면적의 3배로 완화. 설치 기준: 지하층, 3층~10층은 바닥면적 1000㎡마다 (스프링클러 설치 시 3000㎡마다). 11층부터는 바닥면적 200㎡마다 (스프링클러 설치 시 600㎡마다). 근거 관계법령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방화구획 설치조건 및 방화문 설치조건에 대해 상세하게 다룹니다. 이 ..

방화셔터 인근에는 방화문을 의무 설치해야할까?

방화셔터 인근 방화문 설치 의무 자동방화셔터 및 방화문의 기준에 관련된 내용이 개정되었습니다. 이 개정은 방화문 설치의 필요성에 대한 애매한 해석을 명확히 합니다. 결론적으로, 방화셔터가 설치된 곳 인근에는 반드시 방화문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기존의 일체형 방화셔터 사용이 금지되고, 방화문이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는 새로운 규정에 따른 것입니다. 개정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체형 방화셔터 사용 금지: 이전에는 일체형 방화셔터와 방화문을 함께 사용할 수 있었으나, 피난 시 방화셔터가 닫혀 피난경로를 막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정되었습니다. 방화문 별도 설치 의무화: 자동방화셔터 인근(3미터 이내)에는 피난이 가능한 60분 방화문 또는 유사한 기준의 방화문을 별도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러한 규..

방화문 인정제도 세부운영지침 개정 (23.10.24)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세부운영지침 일부 개정 주요내용 : 방화문 부속품 중 개스킷, 접착제 등 성능시험 절차 및 평가기준 추가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 세부운영지침」 [본문]_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개 정 안 개정사유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지침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제2조(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적용에 관한 경과조치) 부록 3의 개정 규정은 이 지침 시행 당시 품질인정을 신청하여 진행 중이거나 품질인정을 받은 구조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개정된 시험방법 등의 적용 시점에 대한 경과 규정 마련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 세부운영지침」 [부록]_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개 정 안 개정사유 [부록 3]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의 품질시험방법 1. 적..

품질인정) 방화문/승강기문/방화셔터 품질인정 품명

■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품목 품 목 주요 재료ㆍ제품 방화문 60분+ 편개 방화문 ISD : Insulated Single Fire Door 편개 문짝, 문틀 60분 편개 방화문 NSD : Non-Insulated Single Fire Door of 60 min 편개 문짝, 문틀 30분 편개 방화문 NSDH : Non-Insulated Single Fire Door of 30 min 편개 문짝, 문틀 60분+ 양개 방화문 IDD : Insulated Double Fire Door 양개 문짝, 문틀 60분 양개 방화문 NDD : Non-Insulated Double Fire Door of 60 min 양개 문짝, 문틀 30분 양개 방화문 NDDH : Non-Insulated Double Fire Door..

방화문 품질인정 번호 부여방법 (품질인정번호/방화문/방화셔터)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의 인정번호 부여방법 ■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 FDS ㉮ : 건축자재별 구분표시 3자리를 영문대문자로 명시한다. (FDS : Fire Door or Shutter) ㉯ : 인정품목별 구분표시 3~4자리를 영문대문자로 명시하며, [별표 2]에 따른다. ㉰ :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로 인정받은 년도를 명시한다. (예 : 2022년 ➜ 22) ㉱ :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로 인정받은 월을 명시한다. (예 : 1월 ➜ 01) ㉲ :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로 인정받은 일자를 명시한다. (예 : 1일 ➜ 01) ㉳ : 원장이 당해일자에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의 인정서를 발급하는 순번을 명시한다.

품질인정제품 인정라벨 표기방법 (부착위치 /

* 품질인정제품 인정의 표시 관리기준 제12조에 따른 인정의 표시는 각호와 같이 표시 하여야 한다. 아래 표시 이외의 형상 및 위치 변경 등은 인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변경 할 수 있다 4.1 공통사항 (1) 표시재료 : 금속, 종이, 잉크 등(탈색 및 변색이 없어야함) ※ 인정을 표시하는 재료가 가연성인 경우에는 1㎜ 이하의 두께로 한다. (2) 표시크기 : 길이 120±20㎜, 폭 : 25±5㎜ (3) 표시방법 : 인쇄, 접착제 부착, 리벳 등 (4) 표시기간 : 방화문(승강기문) 및 자동방화셔터 사용기간 까지 식별 4.2 방화문 표시위치 (1) 방화문의 경첩(힌지)이 설치된 부분의 문짝 단면에 그림과 같은 위치에 부착하여야 한다. (2) 문짝이 다수인 방화문은 인정제품별 1개 이상의 인정 표시를 하..

방화구획 건축자재 종류(방화문/내화구조/내화채움구조/방화댐퍼/자동방화셔터)

□ 방화구획 [건축법 시행령 제46조] ㅇ 내화구조로 된 벽·바닥과 방화문, 자동방화셔터 등으로 내부공간을구획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건축구조 ㅇ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연면적이 1,000㎡를넘는건축물은 1,000㎡ 이내마다 방화구획 하여야 함 □ 방화구획 구성 자재 ㅇ (내화구조)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ㅇ (방화문) 화재의 확대,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방화구획의 개구부에설치하는 문으로서, 연기·불꽃·열 차단 능력을 인정받은 자재 ㅇ (내화채움구조) 방화구획의 설비관통부 등 틈새를 통한 화재확산을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 ㅇ (방화댐퍼) 환기, 난방시설 등의 풍도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경우등에 관통 부분에 설치되어 화재 시 자동으로 폐쇄되는 댐퍼 ㅇ (자동방화셔터..

[국토교통부령 제1247호,2023.8.1.,일부개정] 복합자재 품질인정에 관한 사항

[법령][공포]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시행2023.8.31.][국토교통부령 제1247호,2023.8.1.,일부개정] =>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마감재료가 둘 이상의 재료로 제작된 경우에는 해당 마감재료를 구성하는 각각의 재료에 대하여 난연성능을 시험하도록 하였으나, 앞으로는 불연재료 사이에 두께가 5밀리미터 이하인 다른 재료를 부착하여 제작한 재료의 경우에는 해당 재료 전체를 하나의 재료로 보고 난연성능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하고, 불연재료에 0.1밀리미터 이하의 두께로 도장을 한 재료의 경우에는 불연재료의 성능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보고 난연성능 시험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마감재료의 시험 요건을 합리화하려는 것임. ※복합자재 품질인정에 관한 사항 업체가 개별로 인정 취득한 ..

직통계단/피난계단/특별피난계단/옥외피난계단/대피공간

※ 직통계단과 피난안전구역의 설치 ① 건축물의 피난층(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가 있는 층 및 초고층과 준초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 구역) 외의 층에서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거실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1개소의 계단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3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 ② 건축물(지하층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 이상인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및 전시장은 제외)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은 보행거리가 50m (층수가 16층 이상인 공동주택은 4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자동화 생산시설에 스프링쿨러 등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공장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공장인 경우에는 보행거리가 75m(무인화 공장은 100m..

불연성 재료(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의 정의와 구분기준

구 분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 정 의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건축법 시행령 제2조)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건축법 시행령 제2조) 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건축법 시행령 제2조) 시 험 명 (* 공통) KS F ISO 1182(건축 재료의 불연성 시험 방법) KS F ISO 5660-1[연소성능시험-열 방출, 연기 발생, 질량 감소율-제1부:열 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 * KS F 2271(건축물의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성능기준 (* 공통) 가열시험 개시 후 20분간 가열로 내의 최고온도가 최종평형온도를 20K 초과 상승하지 않아야 하며(단, 20분 동안 평형에 도달하지 않으면 최종 1분간 평균온도를 최종평형온도로 한다), 가열종료 ..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의 인정 신청 수수료 (21.009.0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인정 신청 수수료 금액 (단위 : 원) 구 분 금 액 인정 신청 수수료 신규 신청 기본비용 3,740,000 추가비용 (구조 1개당) 2,240,000 연장 신청 기본비용 2,750,000 추가비용 (구조 1개당) 1,650,000 제조현장 점검 (공장 1개소 당) 650,000 건축공사장 점검 (현장 1개소 당) 820,000 자문회의 및 운영위원회 (1회당) 2,660,000 주) 1. 부가가치세 미포함 금액임. ) 2. 2020 한국엔지니어링협회 임금실태조사결과(2020.12.14.)를 반영한 금액임.

품질인정 공장심사에 관한 사항-2

품질인정 공장심사에 관한 사항-2 품질인정 공장심사는 아래의 [별표 5] 제조현장 품질관리상태 확인 점검표의 6개 항목의 품질관리 상태 점검을 통해진행이 됩니다. 각 항목에 대해 점검 시 지적 받을 수 있는 사항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규정된 지침이 아니라 심사 담당자마다의 판단기준과 지적사항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 바랍니다.) (1) 원재료 품질관리 구 분 점검 확인 내용 원재료 품질항목 및 기준 2.1 각 원재료에 대한 품질항목, 기준 및 시험방법이 사규 등 문서로 명시되어 있으며, 신청서(또는 인정) 내용과 일치하는가 - 수입검사성적서 양식에 검사항목, 검사방법, 로트크기, 판정기준, 제조사 로트번호가 반드시 기재될 것 - 검사 시료 수는 최소 3개 이상..

방화문 침입저항 시험 !! 건축물 창호의 침입 방어 성능기준에 대하여 알아보자.

[별표 1] 건축물 창호의 침입 방어 성능기준 (제10조제8항제1호 및 제2호, 제11조제5항제1호 및 제2호, 제12조제1항제2호) 창문의 침입 방어 성능기준은 다음과 같다. 가. KS F 2637(문, 창, 셔터의 침입저항 시험 방법 –동하중 재하시험)에 따라 연질체 충격원을 300mm 높이에서 낙하하여, 시험체가 완전히 열리거나, 10mm 이상의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시험체의 부품 또는 잠금장치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나. KS F 2638(문, 창, 셔터의 침입저항 시험 방법 –정하중 재하시험)에 따라 하중점 F1(1kN으로 재하)는 변형량 10mm 이하, 하중점 F2(1.5kN으로 재하)는 변형량 20mm 이하, 하중점 F3(1.5kN으로 재하)는 변형량 15mm 이하 이여야 ..

복합자재(샌드위치패널)의 품질시험 방법

『건축물의 품질인정 및 관리 세부운영지침』 [부록 2] 복합자재(샌드위치 패널)의 품질시험방법 1. 적용범위 이 부록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84호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이하 “관리기준”이라 한다) 및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 세부운영지침」(이하 “지침”이라 한다) 제9조에 따른 품질시험에 적용한다. 단, 부록 2에서 적용하는 한국산업표준은 최신규격을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KS F 13784-1 시험방법 2.1 시험체 2.1.1 시험체 구성은 KS F ISO 13784-1(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 대한 화재 연소 시험방법 —제1부: 소규모실 시험) 5.1.1 항의 타입 A의 골조형 또는 5.1.2항의 타입 B의 자립형 구조의 실 형태에 따른다. 2.1.2 시험체..

샌드위치 패널의 법적 요구조건 정리

『건축법』법률 제17733호 (2020.12.22.) 시행 2021.12.23. 제52조의4(건축자재의 품질관리 등) ① 복합자재(불연재료인 양면 철판, 석재, 콘크리트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와 불연재료가 아닌 심재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를 포함한 … 제52조5(건축자재등의 품질인정) ① 방화문, 복합자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자재와 내화구조(이하 “건축자재등”이라 한다)는 방화성능, 품질관리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품질이 적합하다고 인정받아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4조(건축물의 마감재료 등) ⑪ 강판과 심재로 이루어진 복합자재를 마감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해당 복합자재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이어야 한다. 1.강판과 심재 전체를 하나..

방화문 품질 인정제품의 품질시험 (내화시험/차열/비차열/시험체제작 등)

* 방화문의 품질시험 방법 1. 시험체 제작 1) 시험체의 크기와 두께는 양산 제작하는 제품과 동일하거나 갈음하는 범위의 크기로 제작하여야 한다. - 시험체의 폭과 길이 : 큰 사이즈로 성능 확보 시 작은 사이즈는 갈음 됨 - 시험체의 두께 : 작은 두께로 성능 확보 시 큰 두께는 갈음 됨 - 가열로의 크기(3000*3000mm) 이상의 제품 시험은 가열로 최대 크기로 갈음 됨 2) 내화 시험체는 건축공사장 설치 조건과 동일한 부품을 설치하여야 한다. - 도어클로져, 도어록, 디지털도어록 등은 표준시험체에 부착하여 별도의 시험을 통해 성능이 확보 된 경우 해당내용으로 성능인정이 된다. 3) 시험체 제작 수량 - 내화시험 및 부가시험 소요량의 1.5배수 이내에서 제조사와 협의하여 채취 할 수 있다. 2. ..

방화문 품질인정 제품 공고 확인 방법 ( 품질인정 방화문 보유 업체)

** 1. 품질인정 방화문 공고 확인 방법 1) https://www.kict.re.kr/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홈페이지에 방문 2) 상단의 기업지원 메뉴 -> 인증.인정.시험평가 -> 인증.인정업무 클릭 3) 인증.인정 현황 등 각종 자료 보러가기 4) 방화문(셔터) 인정공고 5) 방화문(셔터) 인정공고에 들어가게 되면 건축자재 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에 포함된 제품에 대한 인정 공고를 확인할 수 있다. - 건축자재 목록 가. 내화구조 나. 방화문 및 승강기문 다. 방화셔터 라. 내화채움구조 마. 샌드위치패널 6) 방화문 품질인정 품목 공고 현황 ( 22.12.30 기준) 총 30개 업체 / 품질인정 방화문 등록 건수 134 건 업체명 인정건수 동광명품 15 아주엠씨엠 13 동성산업 9 세기에프에스디 9 ..

방화문 품질인정 신청서 작성 예시 ( 신청서작성/방화문 품목표 등)

1. 방화문 품질인정 신청서 작성 예시 (파란색으로 표기) ■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별지 제1호서식] 건축자재등 품질 인정 신청서 ※ 뒤쪽의 신청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색상이 어두운 란은 신청인이 적지 않습니다. 접수번호 접수일 발급일 처리기간 신청인 상호(명칭) ㅇㅇㅇㅇㅇ(주) 사업자등록번호 000-00-00000 대표자 0 0 0 전화번호 000-000-0000 공장소재지(등록 주소) 서울시 강남구 강남로 211 전자우편주소 firedoor@xxxx.co.kr 신청내용 [ ]내화구조 [ ]복합자재 [✔]방화문 [ ]자동방화셔터 [ ]내화채움구조 상품명 퍼펙트도어 구조·제품명 퍼펙트도어-ABCD-001 사용부위 공용양개형 방화문 내화성능시간 NDD60 「건축법」제52조의5제1항에 따라..

방화문 품질인정 제품에 관한 관리 (인정라벨 / 인정유효기간 / 품질관리 / 행정조치 / 개선조치 )

1. 품질인정 제품(방화문)에 관한 관리 1) 품질인정을 받은 제조업자는 인정제품에 인정라벨을 부착하여야 한다. 가) 인정표시 재질 및 두께 : 0.05mm이상의 불연성재료 나) 인정표시의 크기 : 길이 :120±2mm, 폭 : 22±1mm 다) 표시방법 : 접착제 부착 및 리벳 등 라) 표시유지 기간 : 방화문(셔터)사용 기간 까지 유지 마) 표시크기 및 내용 바) 인정표시 위치는 경첩(힌지)가 설치되는 문 폭의 중앙에 부착하고, 부착 높이는 문짝 하부에서부터 1,400mm ~ 1,700mm사이에 부착되어야한다 2) 품질인정 제품의 유효기간에 관한 사항 - 품질인정을 받은 방화문의 유효기간 : 5년 - 유효기간 연장의사 통보는 유효기간 만료 12개월 전 ~ 6개월 전까지 완료해야 한다. - 유효기간 연..

[품질인정제도] 방화문 품질인정 신청 방법 (인정신청접수/인정서류보완/인정처리기간)

1. 방화문 품질인정 신청에 관한 법 해설 8) 품질인정 신청의 보완 및 반려 - 보완이 필요한 경우 ㄴ제출한 첨부서류의 내용이 부실하거나 사실과 다른 문서를 제출한 경우 ㄴ제조현장의 품질관리상태 (공장심사) 확인 결과 신청내용과 다른 경우 반려에 해당되는 경우 ㄴ인정신청서류 보완요청 3회 이상하였음에도 미흡한 경우(1회당 30일 이내 보완) ㄴ품질시험 결과 요구성능이 확보 되지 않는 경우 ㄴ시험체를 부정한 방법 또는 신청내용과 다르게 제작한 경우 ㄴ신청 수수료 납부 통보일 기준 30일 이내 납부 하지 않은 경우 9) 품질인정 절차 및 처리기간 - 품질인정 신청자 실무 절차 (PROCESS) 인정신청 첨부서류 준비 [별표1] -> 인정신청 수수료 납부(30일 이내) -> 공장심사 담당자 지정 -> 인정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