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선영성이 높은 도막을 형성하려면, 표면에서 빛이 왜곡 없이 반사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도막의 구조와 특성이 중요하며,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이 작용해야 합니다.
1. 표면 평활성(Smooth Surface)
- 가장 중요한 요소는 도막 표면이 얼마나 매끄러운가 입니다.
- 도막 표면이 거칠거나 미세한 요철(오렌지필)이 있으면 빛이 여러 방향으로 산란되면서 반사 이미지가 흐려집니다.
- 따라서, 균일하고 매끄러운 도막 형성이 필수적입니다.
✔ 해결 방법:
- 적절한 도료 점도 및 유동성 조절
- 도장 후 자연스럽게 흐름(Flow, Leveling) 을 유도하는 조성
- 고품질 도료 및 도막의 건조 속도 조절
2. 도료의 유동성과 레벨링(Leveling)
- 도료가 도포된 후 얼마나 잘 퍼지고 표면이 균일하게 형성되는지(레벨링 성능) 가 선영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 도막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으면 미세한 굴곡이 생겨 빛이 불규칙하게 반사됩니다.
✔ 해결 방법:
- 도료에 레벨링제(Leveling Agent) 첨가
- 도막이 적절한 속도로 천천히 경화될 수 있도록 도장 조건 최적화
적절한 건조 온도 및 습도 관리
3. 오렌지필(Orange Peel) 억제
- 오렌지필은 도막이 고르지 않게 퍼지면서 표면이 오렌지 껍질처럼 울퉁불퉁해지는 현상입니다.
- 이는 주로 도료의 점도, 건조 속도, 분사 압력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 오렌지필이 발생하면 반사된 이미지가 왜곡되면서 선영성이 저하됩니다.
✔ 해결 방법:
- 적절한 도료 점도 유지 (너무 점도가 높으면 레벨링 저하)
- 도장 속도 및 분사 압력 최적화 (너무 높거나 낮으면 균일한 도포가 어렵다)
- 도장 후 자연 건조 시간을 충분히 확보
4. 도막의 균일한 두께 유지
- 도막이 균일하지 않으면, 빛이 굴절되면서 반사 이미지가 흐려질 수 있습니다.
- 도장 시 도료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도막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면 선영성이 낮아집니다.
✔ 해결 방법:
- 자동화 도장 장비 사용하여 균일한 도포
- 스프레이 패턴과 이동 속도 조절
- 도료의 건조 및 경화 조건 최적화
5. 도료의 미세 입자 크기(Control of Pigment and Resin Size)
- 도료의 안료(Pigment)와 수지(Resin) 입자 크기가 너무 크면 표면이 거칠어지고, 빛이 산란되면서 선영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입자 크기가 미세할수록 도막이 매끄러워지고 선명한 반사가 가능합니다.
✔ 해결 방법:
- 미세한 입자 크기를 가진 고품질 도료 사용
- 분산제(Dispersing Agent) 첨가로 균일한 분포 유지
6. 도막의 충분한 경화(Curing)
- 도막이 제대로 경화되지 않으면 표면이 완전히 평활해지지 않고, 도료의 수축 및 기포 형성으로 인해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선영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막이 완전히 경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적절한 온도와 시간 관리를 해야 합니다.
✔ 해결 방법:
- 도료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건조 온도 및 시간 준수
- 고온 경화 공정을 사용할 경우, 온도 변화가 급격하지 않도록 관리
7. 코팅층 구조와 투명도
- 다층 코팅(예: 클리어코트+베이스코트) 구조에서는 클리어코트의 투명도가 높고 표면이 매끄러울수록 선영성이 향상됩니다.
- 클리어코트가 미세한 표면 결함을 덮어주거나 왜곡 없이 빛을 반사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 해결 방법:
- 고투명 클리어코트 사용
- 클리어코트 도포 후 레벨링 및 경화 최적화
결론
선영성이 높은 도막을 형성하려면 표면 평활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위해서는:
- 도료의 레벨링 성능을 향상시키고
- 오렌지필을 억제하며
- 도막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하고
- 입자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하며
- 적절한 건조 및 경화 공정을 거쳐
- 고투명 클리어코트를 적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모든 요소가 조화를 이루어야 빛이 왜곡 없이 반사되면서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3. 건축지식의 모든 것 > ▶ (도료)건축자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드컵( Ford Cup) 점도 측정 방법 (5) | 2025.01.31 |
---|---|
UV도료의 장 단점 및 특징 (4) | 2024.04.15 |
점도 지수 (C.P: centipoise) (3) | 2024.04.03 |
칙소성 지수 (T.I :Thixotropic Index) (1) | 2024.04.03 |
윙클 도료에 대하여 알아보자 (5) | 2024.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