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 건축지식의 모든 것 151

도료의 구성요소 (2. 안료의 종류)

[도료의 구성 요소: 안료(Pigment) 이해하기 안료는 도료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색상을 제공하고 도막의 성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 는 안료의 기본 개념부터 시작해 다양한 종류와 그 특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안료란 무엇인가? 안료는 물이나 용제에 용해되지 않는 색상을 가진 분말로 정의됩니다. 이와 대비되는 염료는 물에 용해되고 색상을 가집니다. 안료는 성분에 따라 크게 유기안료와 무기안료로 구분되며, 각각의 특성이 다릅니다. 유기안료와 무기안료 무기안료: 일반적으로 내광성과 내열성이 우수하고 유기용제에 강하며 비용이 저렴합니다. 유기안료: 색상이 선명하고 착색력이 크지만, 내열성과 내광성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가격이 비쌉니다. 안료의 분류 안료는 용도와 특성에 따라 다음..

도료의 구성 요소 ㅣ수지ㅣ안료ㅣ용제ㅣ첨가제

[ 도료의 개요와 구성 요소 ] 도료는 우리 일상과 산업 다방면에 걸쳐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재료입니다. 특히 산업용 도료는 물체의 보호, 미관 개선, 내구성 증가 등의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도료의 구성은 크게 네 가지 주요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성분은 도료의 성능과 특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 도료의 구성 요소 수지(Resin, Binder): 도료의 기본 골격을 이루며, 특성과 성능의 핵심을 결정합니다. 안료: 색상 제공, 도막의 내구성 강화 등의 역할을 합니다. 용제: 도료의 점도 조절, 적용성 향상에 기여합니다. 첨가제: 도료의 특성을 개선하고, 특수한 성능을 부여합니다. 2. 주요 수지의 종류와 특성 Vinyl 수지 구성: Vinyl chloride, Vinyl aceta..

SCI (정반사광 포함)와 SCE (정반사광 제거) 의 차이

SCI(specular component included 정반사광 포함)와 SCE(specular component excluded 정반사광 제거)의 차이 바닥에 일정한 각도로 공을 튀겼을 때, 이상적인 경우 같은 각도로 튀어나오게 된다. 마찬가지로 빛이 물체 표면에 입사되어 같은 각도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정반사광(specular reflectance)이라 하고, 정반사가 되지 않고 산란되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확산반사광(diffuse reflectance)이라 한다. 그리고 정반사와 확산반사를 합쳐 전체반사(total reflectance)라 한다. 광택이 있는 표면에서는 확산반사보다는 정반사되는 빛의 양이 많고, 거친 표면의 경우는 확산반사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다. 예를 들어, 광택이 있..

보호필름 원단 PE 제조 공정

[보호필름 원단 PE 제조 공정] 보호필름의 가장 대표적인 원단은 PE입니다. PE를 만드는 제조 공정을 쉽게 알아봅시다. 1. PE Blown 성형 * PE Blown 성형 원리 에어브로운 (Air Blown) 성형은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기에 의해 수지를 용융시켜 공기를 불어넣어 튜브상으로 만들어 인취롤(Roll) 또는 권취롤(Roll)을 통과시키며 공기로 냉각시켜 제품을 얻는 성형방식입니다. * PE Blown 성형 장치 PE BLOWN 성형장치는 압출부, BLOW부, 인취부, 그리고 권취부의 네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성형기의 개략도를 살펴보면 오른쪽 그림과 같습니다. * 압출부 원료수지를 압출기 호퍼(Hopper)를 통해 공급한다. 압출기내에 공급된 수지는 압출기내의 Screw 와 열에 의해 ..

도료 첨가제의 종류와 기능

[ 첨가제(Additives)의 종류 ] 첨가제(Additives)란 도막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보조제 또는 조제라고도 한다. 가소제, 경화제, 피막방지제,증점제, 분산제, 항균,방균제, 침강방지제, 소포제 등이 여기에 속하며, 소량씩 사용된다. * 가소제(Plasticizers) 도막에 유연성, 부착성, 내한성, 내충격성 등을 부여한다. 예) DOP,DBP,TCP 등 * 건조제(Driers) 유성도료나 유변성 합성수지도료에 첨가되어 산화중합을 촉진시켜 경화건조를 빠르게 한다. 예) 나프텐산 연(납), 나프텐산 코발트, 나프텐산 망간,나프텐산 아연 등 * 경화제(Hardeners) DETA, TETA등은 2액형 에폭시수지도료에 경화제로 사용되며, 에폭시수지성분과 반응하여 도막을 경..

코일 부식 방지 방법은 무엇인가요?

[ 코일 부식 방지 방법은 무엇인가요? ] 코일의 부식 방지 방법은 코일을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고 장기간 동안 그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도유처리: 앞서 언급했듯이, 코일의 표면에 방청유나 윤활유를 도포하는 것은 부식을 방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코일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고, 물이나 산소와 같은 부식을 일으키는 요소로부터 코일을 보호합니다. 2. 코팅 처리: 아연, 알루미늄, 크롬 등의 금속을 코일 표면에 코팅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코팅은 코일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특정한 환경 조건 하에서 코일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킵니다. 3. 포..

코일 도유처리 방법 및 고려사항

[코일 도유처리 방법 및 고려사항] 코일의 도유처리는 코일 제조 과정에서 중요한 공정 중 하나로, 코일의 표면에 기름을 도포하여 보호하는 처리입니다. 이는 코일의 부식 방지, 가공 시 마찰 감소, 그리고 저장 중 표면 보호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도유처리 기준은 제품의 최종 사용 목적과 가공 공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합니다 1. 도유량: 코일 표면에 도포되는 기름의 양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g/m²(그램/제곱미터) 단위로 표시합니다. 도유량은 사용되는 기름의 종류, 코일의 최종 용도, 가공 공정의 요구 사항에 따라 결정됩니다. 2. 기름의 종류: 사용되는 기름의 종류는 코일의 보호 효과와 가공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방청유, 가공유, 윤활유 등 다양한 종류의 기..

철판 스틸 등급 CQ, DQ, DDQ, EDDQ, S-EDDQ란?

[ 철판 스틸 등급 CQ, DQ, DDQ, EDDQ, S-EDDQ란? ] 철판 등급 CQ, DQ, DDQ 등은 철판의 등급을 의미하며, 이들은 모두 연강(탄소의 양이 적고 비교적 연한 탄소강)에 사용되는 등급입니다. 연강은 인장강도 340MPa 미만으로, 연신율이 높고 성형범위가 넓어 다양한 가공에 활용됩니다. 자동차 부품 제작에 주로 사용됩니다. 1. CQ (Commercial Quality): 일반용 저탄소강을 의미하며, 인장 강도는 270MPa 이상입니다. 열연강판은 자동차 샤시용 부품, 냉연 강판은 자동차 내부 부품에 주로 사용됩니다.  2. DQ (Drawing Quality): 가공용 재질로, 인장 강도 270MPa 이상, 연신율 33% 이상의 등급입니다. 열연강판은 가공성을 요구하는 자동차 ..

건축재료의 불연성 시험방법 KS F ISO 1182

KS F ISO 1182는 "건축자재의 비연소성 시험"에 대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건축 자재가 화재 시 얼마나 잘 연소하지 않는지를 평가하는 실험 방법을 제공합니다. 비연소성 시험은 재료가 화재에 노출되었을 때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재료의 연소성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KS F ISO 1182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적: 이 시험 방법은 건축자재의 비연소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정 조건 하에서 시편이 얼마나 잘 연소하지 않는지를 평가하여, 재료가 비연소성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시험 절차: 시험 절차는 일반적으로 소형 시편을 특정 온도(예: 약 750℃)로 가열하는 퍼니스 안에 놓고 일정 시간 동안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 과정..

콘 칼로리미터 시험 ( KS F ISO 5660-1 )

[ 콘 칼로리미터 시험 (KS F ISO 5660-1) 이란? ] CONE 시험(KS F ISO 5660-1)은 건축자재 및 제품의 연소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 방법 중 하나입니다. "CONE"은 Cone Calorimeter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 장비는 제품이나 재료의 발화와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방출률(Heat Release Rate, HRR)을 측정하여 그 특성을 평가합니다. 이 시험은 소방방재청, 건축 기준, 안전 규정 등에서 필요로 하는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KS F ISO 5660-1은 한국 산업 표준(KS)으로, 국제 표준인 ISO 5660-1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이 표준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열방출률 측정: 연소 중 재료에서 방출되는 열의 양을 측정합니다. 이는 ..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일부개정 고시안

대한민국의 건축물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은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며,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정된 규정입니다. 이 기준은 건축물의 설계, 건설, 그리고 운영 단계에서의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포함합니다: 단열 성능 강화: 건축물의 벽체, 지붕, 창문 등 주요 구성 요소의 단열 성능을 강화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특정 단열재의 사용이 권장되며, 최소한의 열전도율 및 열저항 값이 정해져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적인 설비 사용: 난방, 냉방, 조명 등 건축물 내 설비의 에너지 효율 기준을 설정하여, 고효율의 기기 사용을 장려합니다. 재생 가능 에너지 활용: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일정 비율을 태양광, 풍력,..

건축 단열재의 종류 및 특징

[건축 단열재의 종류 및 특징] 건축 단열재는 건물의 열 손실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양한 유형의 단열재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용도가 다릅니다. 주요 단열재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리섬유 단열재 (Glass Wool) 유리를 녹여 섬유 형태로 만든 단열재로, 벽체, 지붕, 바닥 단열에 널리 사용됩니다. 우수한 열 저항성과 비용 효율성이 특징입니다. 2. 암면 단열재 (Rock Wool) 화산암을 녹여 섬유화한 단열재로, 유리섬유 단열재와 비슷하지만, 방화성과 소음 감소 특성이 더 뛰어납니다. 3. 폴리스티렌 폼 (Polystyrene Foam) EPS(Expanded Polystyrene)와 XPS(Extruded Polystyrene)로 나뉩니다. EPS는 가볍고..

알루미늄 코일 제조 공정

알루미늄 코일 제조 공정 알루미늄 코일 제조 과정은 알루미늄을 가공하여 얇은 롤 형태로 만드는 일련의 단계를 포함합니다. 이 과정은 순수 알루미늄이나 다양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최종 제품은 건축 자재, 자동차 부품, 전자 제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알루미늄 코일 제조 과정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원료 준비 및 용해: 순수 알루미늄 덩어리나 알루미늄 스크랩을 용해로에서 용해시킵니다. 필요에 따라 다른 금속을 추가하여 특정 합금을 만듭니다. 용해 과정에서 온도 조절이 중요하며, 불순물 제거를 위한 정화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주조: 용해된 알루미늄은 주조 과정을 통해 큰 덩어리나 슬라브 형태로 만들어집니다. 이 과정은 직접 주조 또는 간접 주조 방식으로 이루어질 ..

알루미늄의 원료와 제조 방법 ( 보크사이트 / 알루미나 / 바이어공정 )

알루미늄 제조 과정은 크게 바우사이트 광석에서 알루미늄 산화물(알루미나)을 추출하고, 그 알루미나를 전해 정련 과정을 통해 순수 알루미늄을 얻는 두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주로 두 가지 주요 방법, 바이어 공정과 홀-헤롤트 공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바이어 공정(Bayer Process): 알루미나 추출 바이어 공정은 바우사이트 광석에서 알루미늄 산화물을 추출하는 과정입니다. 바우사이트는 먼저 분쇄되어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집니다. 이 입자들은 소다 회(NaOH) 용액과 함께 고온 고압에서 처리됩니다. 이 과정에서 알루미늄 산화물은 용해되어 나트륨 알루미네이트 용액을 형성합니다. 용액은 이후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번 세척 및 여과 과정을 거칩니다. 마지막으로, 나트륨 알루미네이트 용액..

전기 아연 도금 공정 ( EGL라인 )

-세척: 철이나 강철 표면의 기름, 먼지, 녹, 그리고 다른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알칼리성 용액, 산성 용액, 또는 물리적 방법(예: 샌드블라스팅)으로 처리하여 수행됩니다. -픽클링: 철이나 강철 표면에 남아 있는 녹이나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산성 용액에 담그는 과정입니다. 주로 황산이나 염산이 사용됩니다. -세척과 중화: 픽클링 과정 후, 남은 산을 제거하고 표면을 중화시키기 위해 다시 세척합니다. 이 단계는 제품의 표면을 아연 도금에 최적화합니다. -전해질 용액 준비: 아연이 포함된 전해질 용액을 준비합니다. 이 용액은 아연 이온을 포함하며, 도금 과정에서 아연이 금속 표면에 코팅되기 위해 사용됩니다. -도금: 준비된 철강 제품을 아연을 포함한 전해질 용액에 담그고, 양극(긍정 전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