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생의 모든 것/▶ 건강학 개론

식후에 먹으면 혈당 급격히 올리는 ' 이 음식' 조심하셔야 합니다.

꾸아이언 2025. 5. 10. 09:00
반응형
728x170

 

식사를 마친 뒤, 달콤한 음식이 당길 때가 있습니다. 입가심으로 한두 입 먹는 간식이라 생각하고 가볍게 먹는 경우가 많은데요.
하지만 이 중 일부는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키는 위험한 음식으로, 특히 50~60대 이상에서 당뇨병, 고혈압, 대사증후군 등의 질환을 가진 분들이라면 절대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

오늘 소개할 음식은 바로 ‘떡’입니다.
보기엔 건강해 보일 수 있지만, 식후 섭취 시 혈당을 갑자기 치솟게 만드는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 떡이 혈당을 치솟게 하는 이유

 

1. 정제 탄수화물 덩어리

떡은 대부분 백미나 찹쌀로 만들어진 정제 탄수화물입니다.
정제 탄수화물은 섬유질이나 영양소가 제거된 상태여서 소화가 빠르고, 포도당으로 빠르게 전환됩니다.
그 결과 혈당지수가 매우 높고(특히 가래떡, 절편은 GI 85 이상), 섭취 후 30분 이내에 혈당이 급격히 올라갑니다.

식사 후 이미 혈당이 일정 수준까지 오른 상태에서 떡을 추가로 섭취하면, 췌장이 갑자기 더 많은 인슐린을 분비해야 하고, 이 과정이 반복되면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게 됩니다.

 

 

 

 

2. ‘떡’은 한 입이 결코 가볍지 않다

우리가 간단히 입가심용으로 먹는다고 생각하는 절편 한 조각(약 70g)은 탄수화물이 30g 이상 들어 있습니다. 이는 밥 반 공기 이상에 해당하는 양이며, 단순히 몇 입 먹은 것 같지만 혈당 상승 효과는 밥 한 공기와 맞먹는 수준입니다.

또한 떡의 질감은 부드럽고 씹는 시간이 짧아 천천히 먹기 어렵고, 포만감을 느끼기 전 많이 먹기 쉬워 혈당 관리에 더욱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특히 위험한 떡 종류 3가지

① 인절미, 절편 등 찹쌀 떡

찹쌀은 일반 쌀보다 점도가 높고 소화가 빠른 탄수화물입니다. 혈당을 훨씬 더 빠르게 올리는 특성이 있으며, 인절미는 고물(콩가루, 설탕)까지 추가되어 칼로리와 당지수(GI)가 모두 매우 높습니다.

찹쌀떡 1개 = 밥 1공기 + 설탕 1스푼 수준의 혈당 자극을 준다고 보셔도 과언이 아닙니다.

 

 

 

 

② 꿀떡, 송편 등 속이 들어간 떡

이 떡들은 겉은 찹쌀이나 맵쌀로 되어 있고, 속에는 설탕, 꿀, 깨, 콩 등 고열량 고당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식사 후 이런 떡을 먹으면, 급격한 포도당 상승과 인슐린 급분비가 동시에 발생해 **저혈당 증상(피로감, 어지러움, 손떨림)**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③ 백설기, 가래떡 등 단순 곡물 떡

겉으로 보기엔 건강하고 단백한 이미지지만, 순수한 쌀로만 만들어진 떡일수록 혈당지수는 더 높습니다.
특히 가래떡을 구워 먹거나 꿀을 찍어 먹는 경우 혈당 상승 속도는 매우 빨라지고, 그 피해는 췌장이 고스란히 감당해야 합니다.

 

 

 

 

■ 식후 떡 섭취가 위험한 이유 (50~60대 기준)

  1. 기초 대사량 감소
    나이가 들수록 근육량이 줄고 대사 속도가 느려집니다. 떡처럼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음식을 섭취하면 잉여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되고, 복부 비만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2. 인슐린 민감도 저하
    50대 이후에는 췌장의 인슐린 분비 능력이 감소하고, 세포가 인슐린에 반응하는 민감도도 낮아집니다. 식사 후 떡처럼 혈당을 급격히 올리는 음식을 섭취하면 고혈당 상태가 오래 지속되어 당뇨병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3. 동반 질환 악화 위험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식후 고혈당은 혈관을 손상시키고 염증을 유발합니다. 이는 심근경색, 뇌졸중, 망막병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떡 섭취는 꼭 신중해야 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