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06/06 3

사망사고 다발 TOP 10 유형

사망사고 다발 TOP 10 유형1. 추락 사고건설 현장에서 높은 곳에서 작업 중 추락발판이나 보호 장비 부족2. 협착 사고기계 설비의 가동 중 몸이 끼이는 사고안전장치 미설치 또는 비정상 가동3. 끼임 사고이동하는 장비와 고정된 구조물 사이에 끼이는 사고좁은 공간에서의 작업 중 발생4. 전기 사고전기 작업 중 감전전기 설비의 불량 또는 보호 장치 미비5. 화재 및 폭발 사고화재로 인한 연소 및 폭발 사고위험물질 취급 부주의6. 충돌 사고차량 또는 이동식 장비와의 충돌작업장 내 교통사고7. 붕괴 사고건설 현장에서 구조물 붕괴지반 침하 및 지지대 부족8. 물체 낙하 사고작업 중 상부에서 물체가 떨어져 발생하는 사고적재물 고정 불량 또는 보호 장비 미착용9. 중독 및 질식 사고유독 가스 흡입 또는 산소 결핍으..

산업현장 위험성평가 방법

1. 위험성 평가란?위험성 평가는 사업장의 유해·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과 중대성을 추정·결정하며,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사고 예방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이며, 체계적으로 문서화하고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하여 피드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2. 위험성 평가의 실시 주체 및 방법사업주는 유해·위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보건관리자, 관리감독자, 근로자를 모두 참여시켜 위험성 평가를 진행해야 합니다.3. 위험성 평가 실시 시기위험성 평가는 최초평가, 정기평가, 수시평가로 구분하여 실시합니다. (1) 최초평가정의: 처음으로 실시하는 위험성 평가대상: 전체 작업과 모든 유해·위험 요인실시 시기: 사업장 설..

2024년 3월말 산업재해 현황 (출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4. 3월말 산업재해 현황구분2024.1∼3월전년 동기증감 증감율ㅇ 재해율(%)0.16 0.16 0.00 0.0 - 사고재해율0.13 0.13 0.00 0.0 - 질병발생률0.03 0.03 0.00 0.0 ㅇ 사망만인율(‱)0.24 0.24 0.00 0.0 - 사고사망만인율0.10 0.10 0.00 0.0 - 질병사망만인율0.14 0.14 0.00 0.0 ㅇ 재해자수(명)34,538 32,919 1,619 4.9 - 사고재해자수28,375 27,376 999 3.6 - 질병재해자수6,163 5,543 620 11.2 ㅇ 사망자수(명)522 496 26 5.2 - 사고사망자수213 201 12 6.0 - 질병사망자수309 295 14 4.7 ㅇ 근로자수(명)21,390,029 20,6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