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660

연소이론 (연소의 정의 / 연소의 조건 / 연소 생성물)

1. 연소의 정의 연소(Combustion)는 화학 반응의 하나로, 연료와 산소와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열과 빛을 발생시키며 새로운 화학 물질을 생성하는 과정을 가리킵니다. 연소는 주로 화염을 발생시키며, 이것은 열과 광선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사용됩니다. 연소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반응을 포함합니다: 연료 + 산소 → 이산화탄소(CO₂), 물(H₂O), 열, 빛 연료는 고체,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연료는 탄소와 수소를 함유하는 화학 물질입니다. 산소는 공기 중에 주로 존재하며, 연소 과정에서 연료 분자의 화학 결합이 끊어지고 새로운 화학 물질인 이산화탄소와 물이 생성됩니다. 이 과정은 에너지를 방출하며, 이 열 에너지는 가열, 광선 방출, 엔진 작동 등 다양한 용도로 활..

단열재 종류 (그라스울 / 미네랄울)

1. 그라스울규사 등 6종류의 유리 원료를 고온에서 용융한 후 고속 회전력을 이용해 섬유화해서 일정 형태로 만든 무기질의 인조 광물 섬유단열재입니다. 부드러운 섬유를 섬세하게 집면해 단열 및 흡음성이 뛰어나며, 무기질 성분이라 불에 타지 않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형이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최대 사용 온도는 350℃로 주로 건축용으로 사용합니다.       2. 미네랄울규산칼슘계의 광석을 고온에서 용융한 후 고속회전력을 이용하여 섬유화한 뒤 바인더를 사용하여 일정한 형태로 성형한 무기질의 인조 광물 섬유 단열재입니다.

방화문 피난방향에 관한 법률 (피난계단 / 피난방향)

*** 방화문은 피난 방향으로 출입구를 열 수 있게 법으로 제정 되어있습니다. 제9조(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①영 제35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라 건축물의 5층 이상 또는 지하 2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지하 1층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5층 이상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된 지하 1층의 계단을 포함한다)은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해야 한다. ②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1.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 가. 계단실은 창문ㆍ출입구 기타 개구부(이하 “창문등”이라 한다)를 제외한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나..

품질관리 기법 및 층별하는 방법(층별 / 4M / 품질관리기법)

Ⅲ.QC기법 Ⅲ-1.품질관리 기법 Ⅲ-2.데이터의 수집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려면 올바른 판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1. 데이터 취하는 목적을 분명하게 알 것 "이 데이터는 무엇 때문에 필요한가"라는 목적을 확실히 2. 데이터를 취한 조건을 명확히 할 것 -누가 보아도 알 수 있게 사실을 정확히 제시 ①무엇을(what) : 제품, 명칭, 품질특성 등 ②어디서(where) : 현장명 ③어떻게(how) : 샘플의크기,간격,측정기,측정단위 ④언제(when) : 데이터를 취한 시간 ⑤누가(who) : 조사자나 검사자 이름 ⑥왜(why) : p관리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3. 데이터는 사실을 충실하게 표현하도록 취할 것. -일반적으로 전체의 극히 일부,즉 표본을 조사하여 데이터를 취하는 것이다. ① 거짓이 없는 ..

품질검사의 종류 및 목적 (수입검사 / 공정검사 / 출하검사)

Ⅱ-1.검사의 목적 -.좋은 로트(Lot)와 나쁜 로트의구별 -.양품과 불량품의 구별 -.공정의 변화여부를 판단 -.공정이 규격한계에 가까워졌는지를 판단 -.제품 결점의 정도를 평가 -.검사원의 정확도를 평가 -.측정기기의 정밀도를 측정 -.제품설계에 필요한 정보의 획득 -.공정능력의 측정 Ⅱ-2.검사의 종류 1.수입검사 : 생산현장에서 원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하여 제품의 원료로서의적합성에 대한 검사. 2.공정검사 : 제품을 생산하는 도중 불량품이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검사. 3.출하검사 : 완제품을 출하하기 전에 출하여부를 결정하는 검사. Ⅱ-3.제품의 품질검사 1.전수검사 : 출하되는 모든 제품을 검사하는 방법 2.샘플링 검사 : 로트로구분한 다음 샘플을 취하여 검사 *단위당 검..

통계적 분석 절차와 산포발생의 원인 (통계적분석 / SPC / 산포)

Ⅰ-8. 통계적 분석의 절차 통계적 품질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data:자료)이다. 데이터는 품질문제를 측정 또는 해결하기 위해 주어진 어떤 집단 중의 일부로부터 측정된다. 이때 관심의 대상이 되는 모든 개체의 집합을 모집단이라 하며,모집단에서 추출되어 모집단을 대표하는 개체의 집합을 표본(sample)이라고 한다. Ⅰ-9. 산포의 발생원인 -동일한 조건하에서 제조된 제품의 품질특성이 모두 균일하지는 않다. 품질 특성에는 반드시 산포가 존재하며, 산포의 발생원인을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우연원인: 우발적으로 발생하여 실제로 제거하기 어려운 원인 * 원재료 또는 설비 등의 표준으로부터 허용범위 내에서의 변동 *작업표준의허용범위내에서의변동 *측정시발생하는 측정오차에 의한 변동 2.이상원인: 찾아..

품질코스트 종류 및 구성 (예방코스트/평가코스트/실패코스트)

Ⅰ-6. 품질관리 - KS A 3001의 정의 :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품질의 제품(서비스)을 가장 경제적으로 만들어 내기위한 모든 수단의 체계 ① 품질은 소비자(고객)의 요구에 합치되는 것이어야 한다. ② 적정한 가격으로 팔릴 수 있도록 경제적으로 산출할 수 있어야 한다. ③ 통계적 방법뿐만아니라 온갖 수단의 적용이 필요하다. ④전사적인 품질경영의 전개가 필요하다. Ⅰ-7. 품질코스트의 구성 및 분류 1.품질코스트의 구성 2.품질코스트의 분류 1)예방코스트(Prevention Cost)-처음부터 불량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 2)평가코스트(Appraisal Cost)-제품의 품질을 평가함으로써 회사의 품질수준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 3)실패코스트(Failure Cost)-품질수준을 유지하..

품질관리 (QC) 의 정의 (품질관리/ 품질특성/PDCA)

Ⅰ-1.용어의 정의 -.품질이란 ? 소비자 욕구의 만족도 ▶▶ 고객의 기대에 일치 -.불량이란 ? 규격이나 기대가치 벗어남 ▶▶ 매력품질의 불만족 Ⅰ-2.관리방법 -.프로세스(Process)관리 : 불량을 만들지 않는 공정확보 -.공정능력(CP)관리 : 기대치(공차)에 대한 제품의 산포를 나타내는 수치 -.도구화 & 시스템화 : 정해진 품질을 만들 수 밖에 없도록 하는 방법 -.산포관리 : 두개의 품질특성치 변화에 따른 상호 영향관계 조사 -.재발방지 : 원리원칙에 준해 근본원인에 대한 대책 및 실시,표준화 Ⅰ-3.품질특성 Ⅰ-4. 품질의 분류 1.목표품질 소비자의 기대품질로서 당연히 있어야 할 품질을 의미한다. 2. 설계품질 자사의 기술수준과 공정능력상 실현이 가능하다고 생각되어 설계에 반영된 품질특성..

품질인정) 방화문/승강기문/방화셔터 품질인정 품명

■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품목 품 목 주요 재료ㆍ제품 방화문 60분+ 편개 방화문 ISD : Insulated Single Fire Door 편개 문짝, 문틀 60분 편개 방화문 NSD : Non-Insulated Single Fire Door of 60 min 편개 문짝, 문틀 30분 편개 방화문 NSDH : Non-Insulated Single Fire Door of 30 min 편개 문짝, 문틀 60분+ 양개 방화문 IDD : Insulated Double Fire Door 양개 문짝, 문틀 60분 양개 방화문 NDD : Non-Insulated Double Fire Door of 60 min 양개 문짝, 문틀 30분 양개 방화문 NDDH : Non-Insulated Double Fire Door..

방화문 품질인정 번호 부여방법 (품질인정번호/방화문/방화셔터)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의 인정번호 부여방법 ■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 FDS ㉮ : 건축자재별 구분표시 3자리를 영문대문자로 명시한다. (FDS : Fire Door or Shutter) ㉯ : 인정품목별 구분표시 3~4자리를 영문대문자로 명시하며, [별표 2]에 따른다. ㉰ :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로 인정받은 년도를 명시한다. (예 : 2022년 ➜ 22) ㉱ :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로 인정받은 월을 명시한다. (예 : 1월 ➜ 01) ㉲ :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로 인정받은 일자를 명시한다. (예 : 1일 ➜ 01) ㉳ : 원장이 당해일자에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의 인정서를 발급하는 순번을 명시한다.

품질인정제품 인정라벨 표기방법 (부착위치 /

* 품질인정제품 인정의 표시 관리기준 제12조에 따른 인정의 표시는 각호와 같이 표시 하여야 한다. 아래 표시 이외의 형상 및 위치 변경 등은 인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변경 할 수 있다 4.1 공통사항 (1) 표시재료 : 금속, 종이, 잉크 등(탈색 및 변색이 없어야함) ※ 인정을 표시하는 재료가 가연성인 경우에는 1㎜ 이하의 두께로 한다. (2) 표시크기 : 길이 120±20㎜, 폭 : 25±5㎜ (3) 표시방법 : 인쇄, 접착제 부착, 리벳 등 (4) 표시기간 : 방화문(승강기문) 및 자동방화셔터 사용기간 까지 식별 4.2 방화문 표시위치 (1) 방화문의 경첩(힌지)이 설치된 부분의 문짝 단면에 그림과 같은 위치에 부착하여야 한다. (2) 문짝이 다수인 방화문은 인정제품별 1개 이상의 인정 표시를 하..

방화구획 건축자재 종류(방화문/내화구조/내화채움구조/방화댐퍼/자동방화셔터)

□ 방화구획 [건축법 시행령 제46조]ㅇ 내화구조로 된 벽·바닥과 방화문, 자동방화셔터 등으로 내부공간을구획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건축구조ㅇ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연면적이 1,000㎡를넘는건축물은 1,000㎡ 이내마다 방화구획 하여야 함  □ 방화구획 구성 자재ㅇ (내화구조)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ㅇ (방화문) 화재의 확대,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방화구획의 개구부에설치하는 문으로서, 연기·불꽃·열 차단 능력을 인정받은 자재  ㅇ (내화채움구조) 방화구획의 설비관통부 등 틈새를 통한 화재확산을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     ㅇ (방화댐퍼) 환기, 난방시설 등의 풍도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경우등에 관통 부분에 설치되어 화재 시 자동으로 폐쇄되는 댐퍼  ㅇ (..

[국토교통부령 제1247호,2023.8.1.,일부개정] 복합자재 품질인정에 관한 사항

[법령][공포]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시행2023.8.31.][국토교통부령 제1247호,2023.8.1.,일부개정]  =>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마감재료가 둘 이상의 재료로 제작된 경우에는 해당 마감재료를 구성하는 각각의 재료에 대하여 난연성능을 시험하도록 하였으나, 앞으로는 불연재료 사이에 두께가 5밀리미터 이하인 다른 재료를 부착하여 제작한 재료의 경우에는 해당 재료 전체를 하나의 재료로 보고 난연성능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하고, 불연재료에 0.1밀리미터 이하의 두께로 도장을 한 재료의 경우에는 불연재료의 성능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보고 난연성능 시험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마감재료의 시험 요건을 합리화하려는 것임.     ※복합자재 품질인정에 관한 사항 업체가 개별로 인정 ..

반응형